계절이 바뀌면서 감기에 걸리는 사람들이 점점 많아지고 있는데 이때 사람들은 자주 판람근을 떠올린다. 그렇다면 판람근은 감기를 예방할 수 있는가?
판람근은 흔히 볼 수 있는 중약재로 주로 십자화과식물인 송람(菘蓝)의 말린 뿌리로 만들며 오랜 사용력사를 갖고 있다. 전통 중의학에서는 ‘청열해독’약으로 분류되여 풍열감기, 인후통증 등 열증치료에 자주 사용된다. 성질은 차고 맛은 쓰며 전통적으로 ‘열독’증상(례를 들어 발열, 인후통)에 일정한 완화효과가 있다고 인정된다.
현대 약리학 연구에 따르면 판람근은 한편으로 항바이러스 및 항균효과가 있다고 한다. 일부 실험에 따르면 판람근의 활성성분(례를 들어 인디고신, 다당류 등)은 체외에서 특정바이러스(례: 독감바이러스, 아데노바이러스)에 대한 억제효과가 있지만 이러한 연구는 대부분 세포 또는 동물 실험이며 인체 림상실험에서는 명확하게 검증되지 않았다.
다른 한편으로 판람근은 면역조절효과도 있다. 판람근의 면역조절효과는 약리활성의 핵심 중 하나로서 주로 고유면역을 활성화하고 적응면역을 조절하여 신체의 방어능력을 강화함과 동시에 과도한 염증반응을 피하도록 한다.
하지만 판람근의 치료효과와 적용범위에는 일정한 한계가 있다. 우선, 항바이러스효과가 제한적이고 고품질의 림상증거가 부족하다. 체외실험은 체내효과와 동일하지 않은바 비록 일부 실험실 연구에서 판람근의 추출물이 특정 바이러스(례를 들어 독감바이러스)에 대한 억제효과가 있음을 보여주었지만 체외실험의 농도는 인체 실제 약물사용수준보다 훨씬 높으므로 림상효능과 직접적으로 동등할 수 없다. 현재까지 대규모 무작위 이중맹검 림상연구에서 판람근이 독감 혹은 기타 바이러스 감염에 대해 상당한 치료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지 못했다. 세계보건기구(WHO)와 현대의학지침에서는 모두 이를 항바이러스 주요약물로 권장하지 않는다.
둘째, 판람근의 작용증상이 제한적인바 모든 감기 류형에 적합하지 않는다. 중의학 리론에서 판람근은 풍열감기(발열, 인후통, 황색가래 등 증상)에 적합하지만 풍한감기(오한, 코물, 흰가래 등 증상) 증상을 악화시킬 수 있다. 따라서 대증치료를 대체할 수 없다. 례를 들어 세균성 감기(례: 련쇄상구균성 인두염)나 중증바이러스감염(례: COVID-19)의 경우 판람근은 항생제나 항바이러스제를 대체할 수 없다.
셋째, 판람근의 잠재적인 부작용과 안전성에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하나는 알레르기 위험이다. 일부 사람들은 복용 후 발진, 가려움증, 심지어 알레르기성 쇼크가 나타날 수 있다. 특히 국화과식물에 알레르기가 있는 사람들은 주의해야 한다. 또 다른 하나는 소화기반응으로 고용량으로 사용하거나 장기간 사용하면 메스꺼움, 설사 등 위장불편함을 유발할 수 있다. 이외 간과 신장 기능에 대한 영향도 있는데 일부 사례에서는 장기간 복용하면 간효소이상을 유발할 수 있다고 보고되였으므로 간, 신장 질병이 있는 환자는 의사의 지시에 따라야 한다.
판람근의 합리한 사용을 위한 건의사항은 다음과 같다.
우선, 보조치료로 사용해야 한다. 경증 풍열감기는 단기간 사용할 수 있으나 증상이 3일 이상 지속되거나 악화되면 즉시 병원에 가야 한다. 다음으로 알레르기체질, 임산부, 영유아, 간 및 신장 기능부전이 있는 사람은 의사의 지도하에 사용해야 한다. 셋째, 병용투여의 위험을 피하고 서약(해열진통제 등)과 함께 복용할 때에는 상호작용에 주의해야 하며 2시간 간격을 두는 것이 좋다.
연변라지오TV넷 연변방송APP
来源:人民网 朝文版
初审:金成武
复审:金明顺
终审:金敬爱